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C언어 시작하기: 포인터 안녕하세요, A부터 C언어까지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인터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인터란?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변수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변수는 특정한 값을 가리키는데, 포인터는 변수의 '주소'를 가리킵니다. 그래서 우리는 포인터를 이용해 변수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변수는 메모리 주소 안에 있는 값을 가리킵니다. (int, char, float ...) 그런데 포인터는 그 값이 들어있는 메모리 주소를 직접적으로 가리키면서 값을 유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포인터 선언 지금까지 우리가 변수를 이용하기 전 이용할 데이터 타입에 맞춰 변수를 선언해줬던 것처럼, 포인터도 같은 방식을 통해 선언해줘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포인터는 일반 .. 2020. 11. 22.
함수 안녕하세요 'A to C언어까지' 입니다. 저번에는 문자열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란?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설계된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함수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반복적인 프로그래밍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에서 특정 작업을 여러 번 할 때는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를 작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필요할 때마다 함수를 호출하면 해당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함수로 나눠 작성하면, 전체적인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1. 반환 자.. 2020. 11. 20.
블록 사용하기 코로나 때문에 외출 나갈 일도 별로 없지만 우리는 항상 노는 시간마저 부족하다. 그런 여러분을 위해 오늘은 블록 사용법을 간단하게 알아볼 것이다. 사실, 블록의 사용법은 이전 강의에서 살짝 언급했었다. 물론 중요한 건 각 블록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제대로 스크립트를 짤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은 위의 사진처럼 고양이가 움직이도록 만들어 보는 것을 목표로 해보자. 위 결과물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깃발을 클릭하면 고양이가 10만큼 앞으로 움직인다. 2. 1. 을 10번 반복한다. 3. 단, 한걸음 움직이고 난 뒤에 0.3초 후 다시 움직인다. 생각하기 이 블록을 쓰면 깃발을 눌렀을 때 이 블록에 연결된 블록들이 실행된다. 이 블록을 실행하면 고양이가 10만큼 앞으로 움직인다. 이 블록을 사용하.. 2020. 11. 20.
배열 안녕하세요 'A to C언어까지' 입니다. 저번에는 switch 문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배열 배열은 특정 변수들을 집합시킨 집합체입니다. 바로 예시를 한 번 보시죠. int value[1000(인덱스)]; int value1; value[0] int value2; value[1] int value3; value[2] . . . -> . . . int value998; value[997] int value999; value[998] int value1000; value[999] 위의 사례를 보면 배열의 편리함을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바로 변수를 선언할 때의 편리함인데요. 왼쪽의 사례를 보면 정수를 1000개 저장하기 위해 int 자료형을 일일이 1000.. 2020. 11. 19.